[경기도교육청, IB 교육 성과 공유로 미래교육 밑그림 그린다]

경기도교육청(교육감 임태희)이 국제바칼로레아(IB) 교육 일반화를 위한 성과 공유와 사례 확산에 본격 나섰다. 10월 한 달간 다양한 IB 수업‧평가 사례와 연구 성과를 교원들과 나누고, 2022 개정 교육과정 적용을 위한 실천 방안을 구체화하고 있다.
IB 교육은 탐구 중심 학습과 성찰을 통해 학생의 비판적 사고력과 자기주도성을 기르는 데 중점을 둔다. 도내에는 현재 297개의 IB 학교가 운영 중이며, 9월에는 신규 후보학교 12곳이 추가되어 총 65개교가 본격적인 IB 수업과 평가를 진행하고 있다.

오는 18일에는 ‘IB 수업‧평가 나눔 워크숍’이 열린다. IB 비운영 학교와 관심 교사를 대상으로 실제 수업과 평가 사례를 소개하며, 교사들이 IB 교육의 철학과 실천 방법을 직접 배우고 현장에 적용할 수 있도록 지원한다.
이어 22일과 23일에는 ‘IB 연구학교 성과보고회’가 개최된다. 1년간의 연구 결과를 바탕으로 각 학교의 운영 성과를 공유하고, 향후 2026년까지의 발전 방향과 일반학교 적용 전략 등을 모색한다.
또한 25일에는 ‘IB 정책실행연구회’의 성과 공유 행사가 열린다. ‘IB 교육과 2022 개정 교육과정의 만남’을 주제로, 현장 중심의 수업·평가 실천 방안을 제시하고 교사 간 공동 이해를 도모한다.
이외에도 후보·인증학교 29곳이 ‘IB 학교 공개의 날’을 운영한다. 모든 도내 교사에게 공개되어 IB 수업을 직접 참관하고, 교육 현장의 변화를 체감할 수 있는 기회를 제공한다.
도교육청은 이러한 일련의 행사를 통해 교사의 수업 역량 강화, IB 교육 실천 사례 확산, 교사 네트워크 활성화를 꾀하고 있다. 특히 IB 교육을 교실 속에서 자연스럽게 구현하는 데 중점을 두고 다양한 지원을 아끼지 않고 있다.
이지명 학교교육정책과장은 “IB 교육은 학생 스스로 배우고 성장하는 힘을 기르는 모델”이라며 “학교 자율성을 기반으로 한 실천이 학생들의 미래 역량 강화로 이어지도록 적극 지원하겠다”고 밝혔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