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06.16 (월)

  • 구름많음춘천 16.3℃
  • 구름많음서울 18.2℃
  • 구름조금인천 16.9℃
  • 구름많음원주 17.5℃
  • 맑음수원 17.4℃
  • 맑음청주 18.1℃
  • 맑음대전 18.5℃
  • 맑음포항 19.5℃
  • 맑음군산 17.8℃
  • 맑음대구 19.0℃
  • 맑음전주 19.1℃
  • 맑음울산 20.0℃
  • 맑음창원 20.6℃
  • 맑음광주 18.4℃
  • 맑음부산 19.1℃
  • 맑음목포 18.7℃
  • 맑음여수 16.8℃
  • 맑음제주 21.3℃
  • 구름조금천안 17.8℃
  • 구름조금경주시 20.7℃
기상청 제공

우리나라 사회적 농업의 발전 방향은...

정부가 2023년까지 사회적 농장을 100곳까지 늘리는 등 사회적 농업 활성화를 추진하는 가운데, 앞으로의 발전 전략을 모색하는 학술행사가 열렸다.

한국농어촌공사(이하 공사)와 농림축산식품부는 10일 서울 임페리얼팰리스에서 정부관계자를 비롯한 유관기관과 농업인 등 100여명이 참석한 가운데 ‘2019 사회적 농업 국제 심포지엄’을 개최했다.

사회적 농업은 농업을 통해 장애인이나 고령자 등 도움이 필요한 지역 사람들에게 돌봄과 교육, 일자리를 제공하는 시스템을 말한다. 농업이 가진 다원적 기능을 기반으로 다양한 사회 서비스를 취약계층에게 제공하기 때문에 벨기에와 네덜란드 등 선진국에서는 치유와 체험, 학습에 농업을 효율적으로 활용하고 있다. 이를 통해 농업정책의 패러다임을 바꾸고 지역 내 사회적경제가 활성화되는 효과를 기대할 수 있다.

이번 국제 심포지엄에서는 국내외 사회적 농업 정책을 연구하는 전문가들이 ‘사회적 농업과 복지제도 연계(Social Farming and Welfare Reconciliation)’를 주제로 다양한 논의를 나눴다. 사회적 농업과 복지제도를 연계한 성공사례가 공유하고, 국내에 적용 가능한 모델을 논의했다.

이어 국외 연사들이 충북 청주와 전북 완주의 사회적 농업 활동 현장을 방문해 우리 사회적 농업의 현황을 공유하고 지역차원의 사회적 농업 정착과 확산을 위한 논의를 이어갔다.

김인식 사장은 “이번 국제심포지엄을 통해 공유된 선진사례와 토론 내용을 바탕으로, 국내에서 사회적 농업을 발전시키고 복지제도와의 연계에 대한 필요성을 인식하고 확대해가는 계기가 되기를 바란다”고 말했다.

변윤재 기자 ksen@ksen.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