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기·서울교육청, 국회서 보이텔스바흐 합의 기반 학생 토론회 연다

경기도교육청과 서울시교육청이 20일 국회 의원회관에서 ‘보이텔스바흐 합의 기반 경기-서울 학생 토론회’를 공동 개최할 예정이다. 이번 행사는 학생들에게 정치·사회적 사안에 대해 직접 토론할 기회를 제공하고, 비판적 사고와 공존의 시민 의식을 함양하기 위해 마련됐다.
보이텔스바흐 합의는 1976년 독일에서 제정된 정치교육의 기본 원칙으로 ▲강제적 주입 금지 ▲논쟁적 주제 장려 ▲자신의 이해관계에 따른 판단을 강조한다. 이번 토론회는 이러한 합의를 바탕으로 학생들이 다양한 시각을 경험하고, 스스로 균형 있는 판단을 내릴 수 있도록 지원하는 데 목적이 있다.
행사에는 임태희 경기도교육감과 정근식 서울시교육감, 국회 교육위원장 김영호 의원이 참석할 예정이다. 경기와 서울 지역의 중·고등학생 100여 명도 자리를 함께해 ‘대학수학능력시험 제도 유지와 폐지’라는 주제를 놓고 토론을 진행한다.
특히 이번 토론회는 공존형 토론모형을 적용해 두 차례 토론을 실시한다. 학생들은 1차와 2차 토론에서 입장을 바꿔 서로의 주장을 펼치고, 마지막에는 ‘공존을 향한 주장하기’ 발언을 통해 서로의 의견을 인정하거나 수용, 반박하면서 최종 합의안을 도출할 예정이다. 이는 단순히 승패를 가리는 방식이 아닌 상대방의 입장을 존중하고 함께 합의점을 찾는 과정을 중시한다.
경기도교육청은 이미 ‘다름과 마주하기-다름을 이해하기-다름과 공존하기’라는 3단계 경기토론교육모형을 개발해 ‘토론하는 학교’를 지정 운영하고 있다. 이번 토론회 역시 이러한 토론문화 확산을 위한 노력의 일환으로 마련된 것이다.
임태희 교육감은 “경기와 서울 학생들이 공동의 사회 문제를 놓고 토론하는 경험은 세계 시민으로 성장하는 데 중요한 밑거름이 될 것”이라며 “앞으로도 공존하는 토론 교육을 학교 현장에 널리 확산하겠다”고 밝혔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