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08.13 (수)

  • 구름많음춘천 30.8℃
  • 흐림서울 32.3℃
  • 흐림인천 31.2℃
  • 구름많음원주 31.2℃
  • 구름많음수원 31.3℃
  • 구름많음청주 31.0℃
  • 구름많음대전 30.7℃
  • 구름많음안동 31.2℃
  • 구름많음포항 28.9℃
  • 구름많음군산 31.2℃
  • 구름조금대구 32.7℃
  • 구름조금전주 33.3℃
  • 구름많음울산 30.7℃
  • 구름조금창원 31.6℃
  • 구름조금광주 31.8℃
  • 맑음부산 32.0℃
  • 구름조금목포 31.0℃
  • 맑음여수 29.5℃
  • 구름조금제주 31.6℃
  • 흐림천안 29.4℃
  • 맑음경주시 32.0℃
기상청 제공

"제7회 종이의 날, 국민 93.8% '종이는 재생 가능한 친환경 자원' 인식"

 

 

 

한국제지연합회(회장 이복진)는 제7회 '2023년 종이에 대한 국민 인식 조사'를 진행하였다. 이번 조사는 마크로밀엠브레인에 의뢰하여 지난달 26일부터 29일까지 전국적으로 1000명의 성인 남녀를 대상으로 종이에 대한 인식과 이용 행태에 대한 다양한 주제를 두고 실시되었다.

 

조사 결과, 종이의 원료가 대부분 가정과 회사에서 분리 배출된 종이로 만들어진다는 사실을 인지한 후에 응답자의 85.2%가 '폐지'를 '종이 자원'으로 보는 것이 적절하다고 답하였다. 또한, 아마존 등의 원시림 나무가 아닌 조림지에서 합법적으로 재배된 나무로 종이가 생산된다는 사실을 알고 난 후, 종이가 재생 가능한 친환경 자원인지에 대한 질문에 93.8%가 동의하였다. 폐지를 재활용하는지 묻는 질문에는 응답자의 77.5%가 종이를 분리 배출한다고 답하였고, 이 중에서도 이면지 활용 비율이 71.9%를 차지하였다.

 

종이와 디지털 기기, 손편지와 모바일 메신저 간의 선호도도 조사되었다. 암기나 문제 풀이 등 학습 효율 향상에 있어 '종이'와 '디지털 기기' 중 어느 것이 더 적합한지 묻는 질문에 응답자의 72.5%가 종이를 선택하였다.

 

감사의 마음을 전하는 수단으로 '손 편지'와 '모바일 메신저'를 비교하는 항목에서는 51.1%가 손 편지를 선택하였다. 특히 연령별로 보면 20대에서 60.8%, 30대에서 60.5%, 40대에서 51.9%, 50대에서 41.0%로 손편지를 선택한 비율이 높았다. 특히 20대와 30대는 '디지털 네이티브'로 손 편지를 선택한 것이 의미 있는 결과로 보여졌다.

 

일상에서 가장 많이 사용하는 종이는 사무용지(38.1%), 종이 포장재(30.3%), 책(13.5%), 수첩 및 다이어리(7.1%), 종이컵(6.0%), 신문 및 잡지(4.7%) 순이다. 종이를 사용하는 가장 큰 이유는 메모 가능성(31.6%), 편리한 사용법(28.3%), 접근성(16.3%), 가독성(10.2%), 간편한 휴대성(7.3%), 환경 보호(5.1%) 순이다.

한국제지연합회 이복진 회장은 "종이는 발명된 이래로 2000년 이상 동안 인류에게 빠질 수 없는 필수품이었다. 종이의 가치는 정보 기록이나 전달을 넘어서 친환경 대체재와 첨단 산업 소재로서의 영역을 끊임없이 확대하고 있다."라고 강조했다.

 

회장은 "우리나라는 세계 7위의 종이 생산 국가로서, 산림 자원 부족을 극복하기 위해 종이 자원을 적극 활용해 왔다. 종이의 날은 제지 산업과 그 종사자들의 노력을 기리고 종이에 대한 긍정적 인식을 고취하기 위해 설정된 것이다."라고 설명했다. 그는 마지막으로 "앞으로도 친환경성과 지속 가능성을 중심으로 제지 산업의 발전을 위한 다양한 활동을 계속 이어나갈 것이다."라고 덧붙였다.



성남시청소년청년재단 서현유스센터, 광복 80주년 맞아 VR 독립운동 체험 운영
한국사회적경제신문 황인규 기자 | 성남시청소년청년재단 서현유스센터가 2025년 국가보훈부 보훈해봄 공모사업에 선정된 ‘독립은 살아있다’ 프로그램을 운영 중이다. 사업은 지난 4월부터 시작되 10월까지 추진되며, 청소년과 청년이 쉽고 흥미로운 체험을 통해 보훈을 이해하고 나라사랑 정신을 경험할 수 있도록 마련됐다. 프로그램은 가상현실(VR) 기술을 활용해 청소년들이 역사 속 인물의 시선으로 사건을 체험하고 몰입할 수 있도록 설계됐다. 독립운동가에 관심 있는 청년들이 직접 VR 콘텐츠와 활동지를 제작하여 청소년들에게 배포하는 방식으로 운영된다. VR 콘텐츠 제작에는 경기과학기술대학교 권태환 교수의 멘토링과 자문이 더해졌다. 권 교수는 지난해 서현유스센터와 함께 ‘마약중독예방 VR 콘텐츠’를 성공적으로 개발한 경험이 있으며, 이를 바탕으로 이번에도 전문적인 기술 지원을 맡았다. 청년들(전종민, 이유빈 등)은 윤봉길 의사와 남자현 의사의 생애와 업적을 주제로 선정해, 역사 속 독립운동 이야기를 가상현실로 생생하게 구현했다. 역사 전공 청년들(배중연 등)은 교육용 활동지를 개발해 VR 체험과 연계하여 학습효과를 높였으며